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채소에서 술까지 물가폭등 예고... 대체상품도 품귀

 캐나다 소비자들이 미국의 대캐나다 수입품 관세 부과로 심각한 물가 부담에 직면하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간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소비자 물가는 이미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산품에 25%, 에너지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캐나다는 3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고, 3주 후 1천250억 달러 규모의 추가 관세를 예고했다. 캐나다와 미국의 교역 규모는 상호의존도가 매우 높다. 2023년 캐나다는 미국에 5천930억 달러를 수출하고 4천840억 달러를 수입했다. 캐나다는 미국 상품의 최대 수출 시장이다.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는 분야는 식료품이다. 캐나다는 겨울철 신선 채소와 과일의 대부분을 미국 남부에서 수입하고 있다. 토마토, 오이, 감귤류, 멜론, 베리류, 복숭아, 체리 등이 보복관세 대상에 포함됐다. 주스 시장도 큰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2022년 캐나다의 과일주스 수입액은 5억9천600만 달러로, 대부분이 미국산이었다. 플로리다산 오렌지주스는 대체 공급처를 찾기 어려워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 주류 시장의 타격도 예상된다. 미국은 자국 와인 수출의 35%, 맥주 11.2%, 증류주 10.6%를 캐나다에 수출하고 있다. 여러 주정부가 이미 미국산 주류 판매 중단을 결정했으며, 캐나다산 주류 생산 확대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과 의류 시장도 관세 영향권에 들어간다. 캐나다는 연간 35억 달러 규모의 화장품과 위생용품을 수입하고 있으며, 미국이 최대 공급국이다. 의류는 중국에 이어 미국이 두 번째 수출국이다. 소셜미디어에서는 "캐네디언 바잉(Buy Canadian)" 운동이 확산되며 수십만 명의 참여자가 모였다. 그러나 캐나다 제조업체들의 생산능력 한계로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워 자국산 제품 가격마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 자동차, 광업, 제약, 화학, 임업 등 기간산업도 관세의 영향을 받게 된다. 다만 에너지 분야는 미국의 캐나다산 석유 수입 의존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을 것으로 분석된다. 밴쿠버 중앙일보물가폭등 대체상품 대캐나다 수입품 캐나다산 주류 캐나다 소비자들

2025-02-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